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4

인공지능의 발전과정, 머신러닝과 딥러닝의 이해 초기 인공지능의 등장과 한계 1956년 다트머스대학교에서 개최한 학술회의에서 존 매커시가 인공지능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하게 되었으며 인간의 두뇌 속 뉴런 구조를 본떠 만든 인공 신경망이 등장하였다. 처음 도입된 인공 신경망의 모델은 퍼셉트론으로 인간의 두뇌와 같이 서로 연결된 뉴런을 통해 정보를 처리하는 방식과 비슷하게 설계된 인공 신경망이다. 하지만 당시 퍼셉트론의 연산능력의 한계가 심했고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가 없어 사람들의 관심도 점점 사라졌다. 그 이후의 인공지능에서는 규칙기반 인공지능(rule-based AI)이 대세가 되었다. 규칙 기반 모델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절차나 방법을 미리 규칙으로 입력하여 결론을 이끌어 내는 인공지능이다. 대표적으로 If-Then 규칙을 사용하는데 ‘만약 ~ 이.. 2023. 2. 3.
화석의 나이를 알 수 있는 방법과 원리 얼마 전 2023년 1월 27일에 ‘포황 금광리 신생대 나무화석’이 우리나라 국가지정문화재 천연기념물로 지정 고시되었다. 이 나무화석이 잘 보존되어 있어 약 2000만 년 전 한반도의 식생과 퇴적환경을 파악할 수 있다고 한다. 나무화석이 2000만 년 전에 만들어 진 것을 어떻게 알 수 있는지 화석의 나이를 측정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시간 경과에 따른 방사선 동위원소 붕괴 화석의 나이를 측정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 탄소연대측정법이 있으며 이 방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방사선 동위원소의 개념을 알아야 한다. 물질의 기본적인 최소 입자인 원자의 중심에는 양성자와 중성자가 결합된 원자핵이 있다. 이 양성자의 수에 따라 원자로 구성된 원소의 종류가 결정된다. 동위원소는 원자의 양성자 수가 같지만 중성자수는 다른 원.. 2023. 1. 30.
시간여행을 할 수 있는 원리와 방법 영화‘인터스텔라’를 보면 우주선을 타고 우주를 갔다 왔더니 지구의 시간이 빨리 지나가 있는 장면을 볼 수 있다. 또한 영화 ‘백 투 더 퓨처’에서는 과거로 시간여행을 가서 문제를 해결하고 현재로 돌아온다. 타임머신을 타고 미래나 과거로 시간여행을 간 것이다. 영화에서나 볼 수 있는 시간여행이 현실적으로 가능한지 그리고 어떠한 원리로 할 수 있는지 알아보자. 시간여행 이해의 기초가 되는 특수 상대성 이론과 광속도 불변의 원리 시간여행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특수 상대성 이론과 광속도 불변의 원리를 알아야 한다. 시속 100km로 달리는 기차 안에 영희가 있고 시속 110km로 달리는 기차 안에 철수가 있다고 가정해보자. 두 기차가 나란히 출발하면 영희는 철수가 탄 기차가 시속 10km로 앞으로 달리는 것처럼 .. 2023. 1. 29.
암세포가 발생하는 이유와 예방법 대한민국 국민의 사망원인 1위로 현대인에게 무서운 질병은 암이다. 암세포는 세포가 비정상적으로 증식하여 우리 몸의 장기를 파괴하고 인체의 기능을 망가뜨리는 악성종양이다. 또한 암세포는 혈액이나 림프관을 통해 신체로 퍼져나가 생명을 위험하게 한다. 이렇게 무서운 암세포가 어떻게 발생되고 예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 지 설명하겠다. 암세포의 비정상적인 무한한 증식 일반적인 세포는 일정한 주기에 따라 증식·분열하며 분열할수록 세포의 주기가 길어져 나중에는 분열할 수 없게 된다. 이것이 세포의 노화이며 정상적인 세포라면 무한히 증식하지 않는다. 세포의 노화는 염색체 말단에 존재하는 텔로미어와 연관이 있다. 텔로미어는 염색체 말단을 보호하기 위해 붙어 있으며 세포분열 과정에서 암호화하고 있는 단백질이 없기에 복제.. 2023. 1. 25.
반응형